






한전, 분산에너지 활성화 견인을 위한
국가 전력망 확충,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습니다.
신규 전력망 확충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 AI 확산 등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또 태양광·풍력 설비 등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력 최대 수요 증가 '38년 최대부하 32% 증가 전망 원전 22기에 해당하는 신규 수요공급 필요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증가 '38년 태양광·풍력 352% 증가 전망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3.12) "2030년까지 재생e 3배 확대 선언"
전력 최대 수요 증가 '38년 최대부하 32% 증가 전망 원전 22기에 해당하는 신규 수요공급 필요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증가 '38년 태양광·풍력 352% 증가 전망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3.12) "2030년까지 재생e 3배 확대 선언"
적기적소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지에 따라 국가의
미래 경쟁력이 좌우되는 “에너지 대전환의 시대".
향후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을 위해서도, 전력망 확충은 더 이상 지연되어서는 안됩니다.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로봇
미래 경쟁력이 좌우되는 “에너지 대전환의 시대".
향후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을 위해서도, 전력망 확충은 더 이상 지연되어서는 안됩니다.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로봇
지난 2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이를 토대로 한전은 전력망 적기 건설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25년 2월 제정)
지원 체계 :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건설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체계 구축
인허가 절차 : 속도감 있는 사업추진을 위한 인허가 절차 개선
보상 지원 : 차별화된 보상·지원을 통해 국민 피해 최소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25년 2월 제정)
지원 체계 :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건설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체계 구축
인허가 절차 : 속도감 있는 사업추진을 위한 인허가 절차 개선
보상 지원 : 차별화된 보상·지원을 통해 국민 피해 최소화
그러나 전력망 건설 확대에 대한 주민수용성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면서, 전력망의 적기 확충이 지연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전력망의 건설 지연은 미래 산업경쟁력 확보, 지역 균형발전, 기후위기 대응과 같이 지금 꼭 해야 하는 일들에 큰 위협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습니다.
주요 건설망 건설사업 지연사례
345kV 북당진 신탕정 T/L 12.6 24.12 150개월
문제점 - 서해안 발전소 전기생산 제한
345kV 신시흥 - 신송도 지중 T/L 23.6 28.12 66개월
문제점 - 바이오 산단 전력공급 차질 우려
주요 건설망 건설사업 지연사례
345kV 북당진 신탕정 T/L 12.6 24.12 150개월
문제점 - 서해안 발전소 전기생산 제한
345kV 신시흥 - 신송도 지중 T/L 23.6 28.12 66개월
문제점 - 바이오 산단 전력공급 차질 우려
전력설비는 혐오시설이 아닌 일상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편의시설이자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필수적인 인프라입니다.
우리가 만들어온 대한민국을 계속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지금과 같이 쾌적한 일상을 누리기 위해서는 전력망의 적기확충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리가 만들어온 대한민국을 계속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지금과 같이 쾌적한 일상을 누리기 위해서는 전력망의 적기확충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더는 늦출 수 없는 전력망의 적기 확충, 한전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정부와 한전의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국민 모두의 이해와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정부와 한전의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국민 모두의 이해와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합니다.